1. 심볼릭 링크 (Symbolic Link)1-1. 개념정의: 원본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가리키는 포인터(참조) 이다.별칭: "symlink" 또는 "soft link"라고도 불린다.특징: Windows의 "바로가기"와 비슷한 개념임."바로가기"는 원본을 가리키는 참조일 뿐이다.1-2. 작동 방식# 예시 구조original_file.txt (원본 파일)└── symlink_to_file.txt (심볼릭 링크)# 실제 예시$ ln -s original_file.txt symlink_to_file.txt 2. 하드 링크 (Hard Link)2-1. 개념정의: 원본 파일과 동일한 inode를 공유하는 파일이다.특징: 원본 파일의 실제 데이터를 직접 참조한다.예시: 같은 문서의 복사본을 만드는 것과 비슷하다...

최근에 프로젝트에서 기존 npm에서 pnpm으로 패키지 매니저를 전환했다.이 글은 “왜 바꿨는지”, “어떻게 바꿨는지”, 그리고 “전환 후 어떤 점이 좋았는지”를예시와 함께 단계별로 정리한 아티클이다.✅ 왜 pnpm을 써야 할까?기존 npm을 쓰면서 겪은 불편함은 다음과 같다: • 디스크 낭비→ 같은 패키지를 여러 프로젝트에서 쓸 때마다 매번 복사됨 • 설치 속도 느림→ 특히 node_modules를 지우고 다시 설치할 때는 시간 소모 큼 • 의존성 충돌 문제→ 서브 패키지 간 의존성 버전 충돌로 인해 디버깅 어려움 그리고 pnpm은 이런 문제들을 이렇게 해결한다:npm의 문제점pnpm의 해결 방식디스크 낭비캐시 + 하드 링크를 통해 하나의 패키지만 저장설치 속도 느림캐시된 패키지를 바로 링크하므로 빠름..